전체 글

전체 글

    [Javascript] 이벤트 루프와 태스크 큐

    [Javascript] 이벤트 루프와 태스크 큐

    1. Javascript 이벤트 루프 자바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싱글 스레드로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One thread == one call stack == one thing at a time Call stack(호출 스택)은 우리가 어떤 순서로 작업을 수행하는지 기록하는 작업 스케쥴링과 관련된 도구입니다. 특정 함수를 실행하면 그 함수를 호출 스택의 맨 위에 놓는데 이것을 push 과정이라고 합니다. 만약에 함수가 어떤 값을 리턴하거나 실행을 종료하면, 호출 스택 맨 위에서 그 함수를 꺼내는데 이 과정을 pop이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코드가 있으면 스택에 순서대로 main() -> printSquare() -> square() -> multiply()로 push가 되고, ..

    [Javascript] 호이스팅이란?

    1. 호이스팅이란? 함수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끌어올려서 해당 함수 유효 범위의 최상단에 선언하는 것을 말합니다. 2. 자바스크립트 함수 동작 원리 1) 자바스크립트 Parser가 함수 실행 전 해당 함수를 한번 훑는다. 2) 함수안에 존재하는 변수/함수선언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실행한다. (함수 블록 {} 안에서만.) 3) 함수를 실행할 때, 호출한 위치보다 해당 함수가 하단부에 있을 경우 자바스크립트 Parser가 내부적으로 함수 위치를 끌어올려서 처리한다. -> 호이스팅 * 실제 메모리에서는 변화가 없습니다. Why?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선언하는 방식이 함수선언식과 함수표현식이 있습니다. // 함수선언식 function test1() { return 1; } // 함수표현식 var ..

    [Jenkins] Linux EC2에서 Jenkins 설치하기(Java 11버전 설치)

    [Jenkins] Linux EC2에서 Jenkins 설치하기(Java 11버전 설치)

    1. 개요 새로 ec2 인스턴스에 jenkins를 설치하려고 하니 java version 이슈가 있어서 설치가 곤란했었던 터라, EC2 인스턴스의 Linux 환경에서 Jenkins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2. Jenkins 구동 실패 jenkins.service - Jenkins Continuous Integration Server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jenkins.service; disabled; vendor preset: disabled) Active: failed (Result: start-limit) since 목 2022-06-30 08:32:00 KST; 7s ago Process: 7079 ExecStart=/usr/bin/..

    [React] 콜백에서의 useState, useEffect 사용 이슈

    [React] 콜백에서의 useState, useEffect 사용 이슈

    1. 개요 위 아래로 스크롤 할 때, 섹션별로 스크롤이 이동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scroll event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때 event가 발생할 때 콜백으로 scroll section index 값을 변경하려고 했습니다. 이때, 스크롤 인덱스가 무조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인덱스가 특정 범위를 넘지 않도록 필터링을 하는 조건을 추가하였는데요. useEffect의 dependency로 등록한 scrollIndex의 console은 잘 찍히는 반면, 필터링하는 부분에서의 scrollIndex 값은 1로 고정이 되어 있었습니다. 사용된 코드 const outerDivRef = useRef(); const windowSize = useRef(getWindowDimensions()); const ..

    [React] Redux Toolkit 에서의 비동기 처리(createAsyncThunk, extraReducers)

    [React] Redux Toolkit 에서의 비동기 처리(createAsyncThunk, extraReducers)

    1. 개요 앞서서 Redux Toolkit의 상태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사용법에서 알아보았는데요, createSlice()를 통해 Slice라는 것을 생성하며, 여기에 초기 default 값과 dispatch를 통해 호출할 reducer 함수를 지정했었습니다. 프로그램 개발을 하다보면, 전역에서 자주 사용되는 api를 호출하거나, api 호출한 결과를 여러 군데에서 사용해야 할 상황이 생기는데, 이와 같은 비동기 처리를 redux store에서는 자체적으로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Redux를 사용할 때는 redux-thunk, redux-saga와 같은 미들웨어를 사용해서 비동기 처리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위의 기능들 같은 경우 Redux와 같이 사용하기 위한 러닝커브가 조금 있기 때문에,..

    [React] Redux Toolkit 사용법

    1. 개요 React에서 상태관리 툴로 Redux를 사용하는데, Redux를 사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고 진입장벽이 높습니다. 액션 함수, 액션 생성 함수, 리듀서, 스토어... 또 타입스크립트를 쓰게 되면 해당 타입을 또 일일히 지정해주어야 하고 관리할 상태값이 1개가 생길 때마다 작성하는 코드도 많아집니다. 가독성도 안좋아지고요... 이러한 문제 때문에 상태관리를 도와주는 라이브러리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사실 Redux Toolkit보다 더 직관적이고 좋은 라이브러리는 많습니다. 다만 상태관리라는 개념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 Redux를 먼저 사용해보고 그 Redux를 편리하게 만든 Redux Toolkit에 알아보려고 합니다! 2. 설치 공식사이트는 아래와 같습..

    [CSS] 자주 쓰는 CSS 정리

    [CSS] 자주 쓰는 CSS 정리

    1. img, video 등 오브젝트 요소에는 object-fit: cover 속성을 사용 내용의 크기가 요소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기본 알고리즘에 의해 조정된다. 이 알고리즘은 원본의 크기에 가운데 정렬된 형태를 띈다. 2. 반응형 css 작업 우선순위 레이아웃을 작성할 때 반응형으로 작업하고 있고, 반응형을 나누는 기준이 min-width라면 모바일 크기부터 데스크탑으로, 작은 화면에서 큰 화면으로 우선순위를 맞춰서 작업한다. 3. display: flex 사용 되도록이면 flex를 사용하되 flex를 아무 이유 없이 남발하지 말것. flex 밑의 자식은 flex-item이 된다. flex-item이 1일 경우 flex: 1 1 0이 된다. grow: 늘어남 / shrink 줄어듬 flex-grow가 ..

    [Typescript] 자주 쓰는 문법 정리

    1. 배열 // default let list: number[] = [1,2,3]; // or let list: Array = [1,2,3]; // interface array interface EnumServiceItem { id: number; label: string; key: any } interface EnumServiceItemList extends Array{} // using var result: EnumServiceItem[] = [ { id: 0, label: 'CId', key: 'contentId' }, { id: 1, label: 'Modified By', key: 'modifiedBy' }, ]; 2. 인터페이스 상속이 가능하다. interface PeopleInterface {..

    [ElasticSearch] Logstash No configuration found in the configured sources. [에러해결]

    [ElasticSearch] Logstash No configuration found in the configured sources. [에러해결]

    1. 개요ElasticSearch에 Logstash의 배치 스케쥴러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configuration을 못찾는다는 오류가 발생했습니다.config폴더에 pipelines.yml과 logstash.conf 파일은 바꾼적이 없는데 말이죠.  2. 에러해결구글링을 해본 결과...<p data-k..

    [Git] 변경된 내용 삭제(git reset)

    1. 개요 서버에서 서비스 중인 프로그램에 대해 업데이트를 진행할 때, 우연찮게 서버 내부에서 수정사항이 발생하고, 이 수정사항에 대해 git에 반영하지 않고 변경된 내용을 삭제하고 단순하게 pull만 받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2. 코드 git reset git checkout . git clean -fdx 1번째 줄 : 모든 staged된 파일이 unstage됩니다(실수로 커밋했을 경우, 로컬에서 unstage) 2번째 줄 : 모든 변경 사항을 취소합니다. 3번째 줄 : 추적할 수 없는 모든 파일 제거(추적된 파일만 남습니다) 이후에 git pull로 변경된 내용을 받고 서비스를 진행하면 됩니다. 참고 https://extbrain.tistory.com/83 [git] 커밋되지 않았거나 저장되지 않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