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요약] 5과목 -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_5)

기은P 2020. 8. 20. 11:10
반응형

10. 데이터 표준화

 

 

 

 

1) 정의

데이터 표준화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요소의 명칭, 정의 형식, 규칙에 대한 원칙을 수립하고 적용하는 것

데이터 표준화 작업을 통해 사용자가 데이터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용어 및 항목이름이 중복되지 않고 직관적이며 공통된 의미로 전달되도록 표준 항목명을 부여

데이터 표준화 작업을 통해 엔티티, 속성, 테이블, 컬럼 등 데이터 요소에서 사용되는 단어에 대해 일정한 규칙이 적용되도록 함

구성 요소 : 데이터 표준, 데이터 관리 조직, 데이터 표준화 절차

 

 

 

 

2) 데이터 표준

데이터 모델이나 DB에서 정의할 수 있는 모든 오브젝트를 대상으로 데이터 표준화를 수행

표준 단어

업무에서 사용하고 일정한 의미를 갖는 최소 단위의 단어를 의미

표준 도메인

문자형, 숫자형, 날짜형, 시간형과 같이 컬럼을 성질에 따라 그룹핑

표준 코드

선택할 수 있는 값을 정형화하는 도메인의 한 유형

표준 용어

단어, 도메인, 코드 표준이 정의되면 이를 바탕으로 표준 용어를 구성

 

 

 

 

3) 데이터 관리 조직

데이터 표준 원칙이나 데이터 표준의 준수 여부 등을 관리하는 사람들로, 데이터 관리자가 대표적

데이터 관리자는 조직내의 데이터에 대한 정의, 체계화, 감독 등의 업무를 담당

 

데이터 관리자(DA)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관리 대상

데이터 모델, 각종 표준

데이터베이스

주요 업무

추가, 수정 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데이터에 반영

메타 데이터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품질 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 및 적용

데이터의 정합성 관리

 

 

 

 

4) 데이터 표준화 절차

데이터 표준화 요구사항 수집

요구사항 수집

시스템별 데이터 표준 수집

표준화 현황 진단

데이터 표준 정의

표준화 원칙 정의

표준 용어, 표준 단어, 표준 도메인, 표준 코드등 데이터 표준 정의

데이터 표준 확정

데이터 표준 검토, 확정, 공표

데이터 표준 관리

데이터 표준 적용, 변경, 준수 검사 등 데이터 표준 관리 절차 수립 및 이행

 

 

 

 

5) 데이터 표준화 대상

데이터 명칭

유일성, 의미 전달의 충분성, 업무적 보편성으로 정의

데이터 정의

3자의 입장에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및 자격요건을 규정

데이터 형식

업무 규칙 및 사용 목적과 유사한 데이터에 대해 일관되게 데이터 형식을 정의

데이터 규칙

기본값, 허용값, 허용 범위 같은 데이터 값을 사전에 정의함으로 데이터의 정합성 및 완전성 향상

 

 

 

 

6) 데이터 표준화의 기대효과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명칭을 지정하면 명확한 의사소통 가능

표준화된 데이터를 사용하면 필요한 데이터의 의미나 위치 등을 쉽게 파악

데이터 표준에 따라 데이터 형식 및 규칙을 적용 -> 입력 오류 방지, 의사 결정 오류를 줄여 데이터 품질 향상

데이터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전사적으로 관리 -> 시스템 간 데이터 공유시 데이터 변환이나 정제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

향후 데이터 유지보수 및 운영의 효율성, 관리 비용 절감

 

 

 

 

 

 

반응형